
환절기에 걸리기 쉬운 질병
ㆍ질병을 막는데는 무엇보다 예방입니다.
ㆍ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소독과 청결하게 청소하고 관리에 만전을 기 하신다면 질병은 막을수 있습니다.
ㆍ혹시나 원인 모를 질병이 의심되면 즉시 가까이에 계신 수의사와 상담후 치료를 한다면 빠른 치료가 이뤄집니다.
환절기에 걸리기 쉬운 질병 | |||
-원인 및 경로 |
-증상 및 병변 |
-예방 및 치료 | |
1.만성호흡기 병(CRD) |
*Mycop; asma galisepticum *난계대, 비말, 공기감염 *회복된 닭은 보균계가 됨 *중, 대추에 다발 *겨울철 및 환절기 *잠복기:4~12일 |
*비즙, 기침, 호흡곤란, 골골 거림, 식욕부진, 산란율감소, 중증의 경우 안면 종창 *계두, 코라이자, 대장균및 기타 세균과 혼합 감염이 많다. *기낭, 복강에 치즈양 물질, 기관지에 삼출액 저류, 기낭염, 비염, 관절염 |
*종란, 병아리 구입은 확실한 종계장에서 구입 *밀사금지, 환기, 온도, 습도에 유의 *암모니아 가스 발생 및 스트레스 요인 최소화 *중증인 경우에는 주사 후 5~7일간 수의사가 지시한 약물투여 *영양공급 및 보조치료 *항생제투여 |
2. 전염성 코라이자 |
*Hemophilus gallinarum *비말, 공기, 접촉감염 *환기불량 시 전염 확대 *회복된 닭은 보균계로 전염원이 됨 *일령에 관계없이 발생 *환절기에 다발(잠복기:1~3일) |
*안면과 눈이 붓고 눈물과 악취 나는 콧물 흘림, 재채기, 호흡기 증상, 수탉은 육수 종창 *사료섭취량 감소, 산란율저하, 증체율감소 *비강, 부비강의 급성, 카달성 염증 |
*계사를 완전히 비운 후 청소, 소독 후 1주일 비워둔다. *예방접종 실시 *발병 초기에 수의사 지시에 따라 약물 투여 |
3.포도상 구균증(빠다리병) |
*Staphylococosis aureus *창상감염 *환기 불량, 과습 시 발생 *4~8주령에 다발 *연중 발생 |
*식욕감소, 관절이 붓고 절룩거림, 부은 곳은 화농성 삼출물저류, 감염 후 4~5일 경과 후 폐사 *가슴, 날개, 배 부위에 괴사성 염증으로 악취 *초생추: 회백색 설사가 특징, 항문주위 불결, 발열, 식욕감퇴 우모가 거침, 날개를 늘어뜨림, 웅크리고 졸면서 있다. 4~10일 경과 후 폐사 *성계: 경증 또는 무증상 감염 *피부형:벼슬, 주둥이 주변, 육수와 다리에 발두후 암적색의 딱지형성 *디프테리아형:혼흡곤란,압안결절, 눈물, 콧물 *입안 목구멍에 회백색 결절, 기관지에 점액 저류 |
*<이산화염소계, 4급암모 늄계>계체, 계사의 음수 및 분무소독 *과밀사육 금지, 스트레스 요인 최소화 *병계는 격리,도태 *항생제투여 |
4.추백리(Pullorum Dlsease) 5.계두(Fowl Pox) |
*Salmonella pullorum *소화기, 호흡기를 통한 감염 *난계대전염 *부화기 및 계분에 의한 감염 *일령에 관계없이 발병 하나 주로 1주령내 다발 *연중발생 *계두바이러스 *접촉, 공기, 창상감염 *곤충매개 전파(모기, 닭겨모기) *모든 일령에 발병하나 주로 어린 닭에 다발 *가슴, 날개, 배 부위에 괴사성 염증으로 악취 *8월~10월초 발병 |
*종계 부균계는 검출 도태 *입추전 소독약으로 계사 분무 소독 *곤충구제및 야조, 쥐 침입 방지 *수의사 지시에 따라 음수투약 및 약물 투여 *계사내 모기 구제 *계두백신접종 *출입자 통제 및 도입계 격리 사육 *치료방법 없음 *2차 감염 방지를 위해 항생제와 영양제 병행 투여 | |
6.대장균증(Avlan Colibacillosis) |
*병원성 대장균 *오염된물, 사료, 분변에 의한 경우, 공기감염 *밀사, 환기, 보온, 불량시 발병 심함 *초생추, 중추다발 |
*흔히 호흡기 질병과 혼합 감염됨 *원기 소실, 회백색, 황녹색 설사, 생후 2~3일내 폐사 *기낭염,심낭염,수란관염,간종양, 관절막염 |
*계사의 철저한 환기와 소독으로 대장균 오염 상태를 최소화 *육추 후 1~2주 동안 각종 스트레스 요인 제거 (약물 투여) *항생제와 영양제 병행 투여 |
7.뉴캐슬병(New Castle Disease) |
*뉴캐슬 바이러스 *비말, 공기, 경구감염 *일령에 관계없이 발병 |
*기침, 호흡곤란, 식욕부진, 황백색 설사가 녹색 설사로 변함. *마비, 경련, 선회 운동,머리 날개 다리가 뒤틀림 *기낭 혼탁, 사낭 .장 . 선위의 출혈 반점 |
*백신접종 *계사소독 철저 *감염후 치료방법 없음. *2차 감염방지를 위해 항생제와 영양제 병해 투여 |
8.전염성기관지염(Infectious Bronchltis) |
*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 스 *공기 비말 전염 *모든 일령 |
*병아리:전파속도가 매우 빠르며 재채기, 탁한기침, 호흡시 이상음 이 들림 *성계:산란율저하, 기형란, 저질란, 연란생산 *기관내 장액성 삼출물, 산란계는 수란관에 염증 |
*출입자, 차량통제 *계사 내외부 소독 철저 *IB백신접종 *치료방법 없음 *2차 감염 예방- 항생제 와 영양제 병행 투여 |
9.전염성 후두기관지염 |
*전염성 후두염바이러스 *비말감염, 오염된사료, 물에 의한 전파 *야조에 의한 기계적 전파 *모든일령 *연중발생(가을~봄) |
*호흡곤란으로 목을 빼고 개구 호흡을 하며, 콧물을 흘리고 기침 을 함. *출혈성 기관지염, 후두염을 동반 입. 구강 내부에 혈액성 삼출물 저류 |
*ILT백신접종 *백신접종계, 미접종계, 회복계의 혼합사육 금지 *계사소독철저 *치료방법 없음 * 2차감염방지 위해 항생 제와 영양제 병행 투약 |
10.닭뇌척수염(Avian Encephalomyelitis) |
*닭뇌척수염 바이러스 *난계대 전염 접촉 *60일령 전의 초생추 주로 1~2주령에 다발 |
*운동실조, 다리마비, 머리와 목의 경련 *성계는 불현성감염, 산란율저하, 육안적 병변은 없음 |
*AE백신접종 *계사소독 *치료대책 없음 *2차감염방지 위해 항생 제와 영양제 병행 투여 |
11.감보로병(전염성 훼브리셔스낭병:IBD) |
*IBD바이러스 *사료, 짚등을 통해 경구 감염 *짚 진드기에 의한 매개 감염 *2~6주령 다발 |
*면역 항체 소실로 달ㄴ 전염병에 의한 피해 큼 *가슴, 다리에 점상. 반상출혈, 간종창, 신장종대, F낭의 종대 및 충출혈 임파선의 심한 염증 *설사증이 뒤따를 경우가 많음 |
*감보로 생독백신접종 *계사 및 기구 철저 소독 *특별한 치료방법이 없음 *2차 감염예방- 항생제 와 영양제 병행투여 |
12. 마렉병(Marek`s Disease) |
*MD바이러스 *공기감염, 오염된 사료. 물에 의한 전염 *정형 마렉병:50~150일령 *급성마렉병:50일령 *연중발생 |
*급성형: 전신쇠약, 원기소실, 빈혈, 녹색변 단시간 내 폐사 *정 형: 다리, 목, 날개의 마비, 소화 불량,개구호흡 |
*입추 시 계사 소독 철저 *예방접종 *특별한 치료방법 없음 *병계의 검출 도태
|
13.콕시듐(Cocoidiosis) |
*9종의 콕시듐 원충 (Eimeria) *Eimeris tenella가 가장 빨리 발병 *오염된 사료, 물에 의한 경구 감염 *중추 이상 발병 *여름철 발병율이 높음 |
*급성형:E. tenella에 의하며, 혈변, 빈혈, 48시간 내 폐사, 맹장내 혈액응고물저류 폐사율 40~100% *아급성형: 혈변,빈혈,소장 상부 출혈 및 팽대 *만성형: 중추이상에서 다발, 1~2일간 설사후 혈변, 체중감소, 식욕부진 |
*주변 청결 건조 *육계는 20일령 전후 예방적 콕시듐크리닝을 4~5일간 실시 *항코시듐제 투여
|
번호 | 자 료 제 목 | 등록자 | 조회 |
---|---|---|---|
15 |
닭 부화 체크 일지
![]() |
은조부화기 | 758 |
14 | 닭에게 해로운 암모니아가스 수준 | 은조부화기 | 3292 |
13 | 원앙새 사육 | 은조부화기 | 7437 |
12 | 호로조 사육기술 | 은조부화기 | 6362 |
11 | 계사소독 및 방역 | 은조부화기 | 3701 |
10 |
부화과정 중의 온도와 습도
![]() ![]() |
은조부화기 | 27087 |
9 | 부화기 부화 일지 표 | 은조부화기 | 2632 |
8 | 부화 시 지침 | 은조부화기 | 6031 |
>> | 환절기에 걸리기 쉬운 질병 | 은조부화기 | 2515 |
6 | 부화율의 원인과 대책(2) | 은조부화기 | 3857 |
5 | 배자의 발육(2) | 은조부화기 | 1818 |
4 | 조류별 부화일 수 | 은조부화기 | 16772 |
3 | 종란관리 중요한 요소 | 은조부화기 | 1925 |
2 | 계란의 구조(2) | 은조부화기 | 1960 |
1 |
부화기란?
![]() ![]() |
은조부화기 | 606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