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증 상 | 원 인 | 대 책 | 
                    | 1. 핏줄기나 배자의 
                        발육이 없는알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무정란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) | 수정력이 약한 수탉이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전적으로 부화율이 약한 암탉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) | 수탉이 너무 많으면 수탉끼리 싸워서 수정력이 약해 진다.또한,너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어도 수정력이 약해진다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)  | 수탉이 너무 늙었을 때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) | 영양이 부적당하고 음수량이 부족하면 닭들이 건강하지 못하여 볏과 아랫볏에 주름이 많이 생긴다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) | 너무 좁은 방에서 많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닭을 길렀을 때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) | 늦은 여름과 가을에는 환우를 하기 때문에 수정력이 떨어진다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) | 볏과 아랫볏이 動傷을 입었을 때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) | 닭병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너무 춥거나 너무 더운방에다 둔 알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부적당한 온도와 습도에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너무 오래 둔 알. 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적당한 관리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영양 및 번식이 필요하다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) | 높은 부화율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진 닭을 선택 할 것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) | 100의 암탉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하여 수탉 5~8마리를 넣는다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너무 늙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닭(2년 이상 된 닭)은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) | 영양가 높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좋은 사료와 깨끗한 물을 충분히 주고, 또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물통을 충분히 준비하여 어느때 어느곳에서든지 먹을 수 있도록 해 준다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) | 계사의 넓이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충분히 하고 1수당 넓이를 적당하게 한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) | 일찍 부화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닭으로서 잘 성숙한 수탉을 사용한다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) | 방창과 방풍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잘된 계사 를 사용하며 적당한 물그릇(닭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키와 같은 높이의 물그릇)을 사용한다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) | 전염병의 예방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노력 할 것.(계사에 출입할 때에는 소독반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밝고 출입하도록 한다.)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속히 적당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온도에 보존할 것. (4℃ ~ 13℃에 보존,10℃ ~ 12℃가 가장 좋다).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온도 7℃,습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%내외에 보존 한다. 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2. 투명란이지만 
                        핏줄기가 작게 발달된 배자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알을 너무 더운 온도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존했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부화초기의 온도가 부적당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할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닭의 부적합 장소에서 기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(동상을 입은 볏은 검다)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부적당한 영양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리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. | 닭의 부화력이 낮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알을 때때로 꺼내보고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당한 온도에 보관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확실하고 적당한 부화온도를 유지토록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병에 걸린 닭이나 동상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걸린 닭의 알은 쓰지 않도록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양질의 사료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준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. | 높은 부화력을 가진 닭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택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| 3. 발육중단란이 많이 생기는 경우(發育中斷卵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환기가 좋지 못할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전란이 부적당할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증상 2항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인 4,5와 같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정확히 적당한 부화온도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지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부화실 내는 물론 부화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의 환기에 유의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하루에 8회이상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기적으로 전란한다.(이상적인 전란시간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시간에서 3시간마다)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대책 2항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,5와 같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4. 알을 쪼았으나 
                        나오지 못한 사롱란(死籠卵)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낮은 습도일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환기와 소독이 부적당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과도한 온도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기간 계속 되었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낮은 온도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지했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부란하는 동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당한 습도를 유지 한다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부화실 및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화기내의 환기에 조심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부화온도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맞게 온도를 보존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부화기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안 적당한 온도 를 유지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5. 알을 쪼지 
                        못한 
                        사롱란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발생좌에서 발생할 때 습도가 너무 높거나 낮았을 경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증상 3항1,2,3과 같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부화기내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화시기에 알맞는 습도를 유지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대책 3항의1,2,3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같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6. 난질을 묻혀가지고 나오는 병아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평균하여 낮은 온도일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습도가 너무 높았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환기가 부적당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고 부화기 내를 소독 했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적당한 부화온도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지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부화기간 동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당한 습도를 유지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적당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환기에 항상 유의 해야 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7. 난각을 묻혀 
                        가지고 나오는 병아리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알을 너무 건조시켰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낮은 습도로 발생시켜 주었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기내를 적당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환기시키고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적당한 습도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항상 유지 해야 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8. 너무 일찍 
                        깨어나와 피가 묻어 있는 
                        병아리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부화기간 동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항상 그때에 알맞는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9. 배꼽이 잘아물지 
                        못한 병아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높은온도 또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온도의 변화가 많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발생좌로 옮긴다음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너무 높은 습도를 주었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부화기간 동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당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발생좌로 옮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첫 1~ 1.5일간은 약간 낮은 습도가 좋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10. 너무 작은 
                        병아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알이 작을때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습도가 낮을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온도가 높을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50g이하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알을 넣지 않도록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적당한 습도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지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적당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온도를 유지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11. 크고 연약한 
                        병아리, 나쁜 냄새를 
                        풍기며 발생좌에서 
                        죽는 병아리등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낮은 온도를 유지했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환기가 나쁠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배꼽병에 걸렸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부화기간 동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당한 온도를 유지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부화실과 부화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의 환기를 조절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완전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독하고 청결히 해야하며,특히 발생좌 및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란기내의 알을 소독해야 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12. 약한 병아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발생좌에서 너무 높은 온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주었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발생좌에서 부적당한 환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해주었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발생좌에서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정온도보다 높게 해서는 안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부화실의 환기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의하고, 발생좌의 환기공을 열어 준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13. 털이 짧은 병아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온도가 높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습도가 낮을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과도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환기를 했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부화기간 동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온을 유지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적당한 습도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지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부화기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환기공을 줄이고 병아리의 자온을 고려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14. 헐떡이며 
                        빽빽거리는 
                        병아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부화기를 과도하게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독했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호흡기병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걸렸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부화중 소독하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법을 참조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병의 치료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방을 철저히 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15. 발생이 늦은 
                        병아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평균온도가 낮았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너무 오랫동안 종란을 보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했을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정확하고 적당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온도를 유지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7~10일 이상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관하지 않도록 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16. 발생기간이 긴 병아리.즉 일찍 발생은 되었으나 깨어 나오는 기간이 긴 병아리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자주 알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꺼내고 빨리 저란 온도로 낮춘 다음 적당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온도에 보관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17. 절름발이 또는 기형의 병아리 1)십자형 주둥이
 2)굽은(삐뚤어진) 목
 3)눈이 
                        없는 것
 4)훠어진 발가락
 5)발이 삐뚤어지거나 
                        꾸부 러진 경우
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유전적 형질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졌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확실한 원인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르나 영양 관계인것 같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기형이거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온도가 높았을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온도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적당하거나,난좌 에 알을 너무 적게 넣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병아리에게 너무 많은 공간을 줌으로써 움직였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. | 발생좌가 너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끄러울 때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종자의 선택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엄격하게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규정에 맞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료을 준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그리 많지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않으나 기회에 따른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부화기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안 적당한 온도 를 유지하고,난좌에 알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너무 적게 넣어 주지 않도록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. | 이러한 경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멍이 있는 것으로 교체 한다. |  |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18. 부화율이 낮을 때에 생기는 병아리의 기형,또는 사란 에 있어서 기형이 많이 나올 경우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전란과 입란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적당 할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환기가 부족했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온도의 고저변화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심할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습도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불충분할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. | 유전적 형질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. | 사료가 부적당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. | 기공이 없거나,유전적으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,영양적 원인으로 난각 의 기공이 막혔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. | 알을 수송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 둔단면을 밑으로하여 알의 위치가 나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우.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 | 알의 뽀쪽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분이 밑으로 가게 하고 전란은 일정간격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지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 | 부화실 내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환기에 유의하 고 부화기의 환기공을 조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여 준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 | 부화기간 동안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항상 적당한 온도를 유지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 | 부화기내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습도를 적당 하게 유지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. | 부화율을 높게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기 위하여 종자의 선택을 엄밀히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. | 사양표준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알맞게 양질의 사료를 준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7. | 알의 취급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잘 하고 사양 관리를 올바르게 하며 종계 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선택을 신중히 한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8. | 알을 수송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에는 조심 해야하며,청명한 날에 운반 하도록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다. |  |